" 소개(으)로 태그된 글들"
페이지:«1234»

iPhone/iPod Touch용 iStellar

2008-12-30   //   alexken작성   //   천문  //  2 Comments
iStellar

방금전 소개했던 Nintendo DS용 星ナビ를 만든 astroarts사에서 iPhone/iPod Touch용으로 만든 플라네타리움 소프트웨어인 iStellar이다.

돈주고 구매한 최초의 iPhone용 Apps이다. Apps Store에서 iStellar 입력하면 찾을수 있고, 한국 Apps Store에서도 구매 가능했다. 星ナビ보다는 대폭 저렴한 $8.99이다. 영어/일본어 버전이 있고, 국내에서 구매하면 영문일듯…(아직 모름) Touch를 회사에 두고온 관계로 구입및 다운로드만 했고 내일이 되봐야 나도 설치가 가능할 거 같다.

http://www.youtube.com/v/AmNJRfq-cyA&color1=0xb1b1b1&color2=0xcfcfcf&feature=player_embedded&fs=1

Nintendo DS용 星ナビ

2008-12-30   //   alexken작성   //   천문  //  1 Comment

星ナビ

이전에도 한번 소개한적이 있었고, 개인적으로 손꼽아 기달리던 소프트웨어인 Astroarts사의 星ナビ가 2009년 3월 발매 예정이라고 출시일을 밝혔다. 가격은 8190엔으로 환율 생각하면 상당히 비싼 값으로 책정되었는데, 단순히 소프트웨어만이 아니라, 카드 안에 6축 위치센서를 탑재해서 마치 iPhone이나 iPod Touch와 같은 분위기가 될거 같다. 나만 쓸꺼면 상관 없지만, 가족들과 함께 사용하려면, 한글판 나오면 고려해 보겠다. 하지만 Astroarts가 한글판을 출시할지 계획은 …. 아마 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을거 같다.

Google Chrome 속도 죽이네…

2008-09-03   //   alexken작성   //   기술  //  2 Comments

어제 오늘 모든 블로그에서 불이났던 google의 Chrome을 오늘부터 다운받을 수 있길래 설치하였음. 딴건 잘 모르겠고, 렌더링 속도가 아주 예술이네…

렌더링 엔진이 Safari랑 같은지 거의 같은 렌더링, 같은 버그를 보여준다. 현재 hanury.net에도 설치된 lightbox의 경우, 가로 이미지와 세로 이미지가 시퀀스로 묶여있을때 크기 정보를 안주면 뒤죽박죽 되는 버그가 있는데, IE, Firefox에서는 문제없지만, Safari에서만 유난히 발생하는데, Chrome도 똑같은 증상을 보여주는거 보니 렌더링 엔진이 같아서이지 않을까 추측해봄.

유감스럽게도 아직은 Windows 버전만 제공하고, 향후 MacOSX도 바로 지원한단다.

인단 증거 샷.

FET-300 EM-3700 完成

2008-09-01   //   alexken작성   //   천문  //  No Comments

일본 다카하시 메인 홈피에 어마어마한 글이 올라왔다. Cloudy Nights Telescopes Reviews에도 이 제품에 대한 글타래가 열렸다. 제작에만 3년걸렸고, 길이 2m90Cm에 무게 150Kg이란다.

듣도 보도 못한, 플로라이트 구경 30Cm, 한국으로 납품된다는 이 망원경의 도착지가 도대체 어디인지… 무쟈게 궁금하다.

FET-300 EM-3700 完成

원문 및 번역문 보기

더 보기 >>

Meade ACF? 광학계

2008-08-26   //   alexken작성   //   천문  //  No Comments

이번에 인수한 경통은 Meade의 LX200R 14′이다. 앞으로 장초점을 담당할 나의 평생 주경이 되었다.

Meade 슈미트카세그레인 경통은 그다지 흥미 없었지만, 이번의 경통은 자세히 보니 R이 붙어 있다. RC(Ritchey-Chrétien) 광학계는 사진용 망원경의 궁극의 광학계이다. 워낙 가격이 비싸 지난번 뽐뿌목록에 올리지 조차 않았다.(만불은 기본, 껄핏하면 2만불 이상…) 미국의 대중적인 망원경 생산 업체인 Meade가 Advanced Ritchey-Chrétien이란 광학계를 소개했고 가격도 매력적인데다가, Meade의 기존 SC 광학계에 비교해서 많이 좋아졌다는 평이다. 롤란도옹께서도 호평하셨다고 하니… 이건호님의 호평도 함께… StarryLand에서 본 LX200R 14″ 리뷰

재미난건, 지난달까지 LX200R이라고 소개하던 Meade 사이트에서 이번달 부터 일제히 사라지고 ACF만 있다. 지난달, 天文ガイド에서는 여름 세일이라면서 LX200 SC를 엄청 소개하더니 이번달 부터는 값자기 ACF만 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Meade가 붙인 ARC란 광하계에 많은 공격이 있었던 모양이다. RC란 이름을 함부로 사용할수 없었거나, RC광학계 제조업체로 부터 그게 어떻게 RC냐는 공격을 받았거나. 암튼 앞에 SC처럼 전면에 보정렌즈가 있으니 순수한 RC광학계가 아님은 분명하니… (name problem이라고만하니… 자세한 사정은 알수 없음….) 그래서 기존에 Advanced Ritchey-Chrétien이란 이름대신 이번달 부터는 Advanced Coma Free란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ARC와 ACF는 이름만 변경하였을 뿐 광학계 차이는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나의 새 망원경 이름은 Meade LX200 14′ ACF 가 되겠다.

참고로 기존에 Robotic telescope였던 RCX 광학계는 LX400 ACF로 변경되었다.

iCal 및 주소록 Sync 솔루션

2008-04-08   //   alexken작성   //   기술  //  2 Comments
logo.gif

얼마전에 iCal 파일 발행 및 구독란 글을 썼다.

그때는 그방법 밖에 몰랐었는데, 얼마후에 박동영 선배한테 Plaxo란 서비스를 소개 받았다. 양방향 싱크 서비스이기 때문에 WebDav로 발행하는거 보다 여러가지 잇점이 있다.

Box.net(WebDav)에 발행

여러 컴퓨터에서 같은 iCal을 볼 수 있지만, 편집은 한 컴퓨터에서만 해야 한다. 매킨토시, Windows Vista의 일정, Google 캘린더처럼 ical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한정. 주소록의 경우 내가 편집한 내용만 반영

Plaxo를 이용한 싱크

Plaxo를 설치한 여러 컴퓨터라면 어디서나 편집 가능하다. Plaxo가 여러가지 plug-in을 지원해서 많은 플랫폼에서 가능하다.(Mac, 썬더버드, Outlook…) Plaxo만의 매인 서비스 일 수 있는 , 자기 주소록은 자기가 관리한다. (즉, 내 주소록의 Plaxo를 사용하는 친구가 연락처가 바뀌었다면, 본인이 수정하면 내 주소록에도 자동반영) 단점이라면, 주소록 플러그인이 좀 튄다는 느낌.

내 연락처 중에서는 이건호씨가 이미 사용하고 있었다

NDSL용 플라네타리움 소프트웨어 (星空ナビ)

2008-03-06   //   alexken작성   //   천문  //  4 Comments

PSP의 경우에는 세가에서 만든 홈스타소프트웨어 버전인 플라네타리움 소프트웨어가 있었는데,

星空ナビ이번에 아스트로아츠에서도 NDSL으로 [星空ナビ]라는 소프트웨어를 올 여름에 출시할 예정이란다. 아스트로아츠라면 국내 천체사진 찍는 사람은 누구나 알만한 [스텔라이미지]를 만든 회사이다.

집에 NDSL이 2대나 있는데, 우하하…

PC/Mac에서는 StarryNight이라는 플라네타리움 소프트웨어가 가장 완성도가 높은거 같고(실제 사진으로 만들어진 천체 성도이다.)

100인치 프로젝터로 불꺼놓고 풀스크린으로 보면 굳이 밖에 나가지 않고도 강원도에 온듯한 느낌이 들 정도이다.

아참 그러고 보니, StarryNight은 iphone용 으로 플라네타리움 소프트웨어를 발표한 적이 있었다. 독립된 프로그램은 아니고, 엄밀히 말하면 iphone safari에 최적화된 Ajax 웹 어플리케이션 이었던 거 같다… (지금은 지워서 기억이 가물가물…)

Mac에서 시리얼 로그 보기

2008-03-05   //   alexken작성   //   기술  //  No Comments

21세기인 지금에도 많은 기계들이 시리얼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TV나 STB같은 경우는, AS나 디버깅 용으로, 그리고 많은 천체장비들은 아직도 시리얼통신이 주가 아닌가 싶다.

업무상 TV의 시리얼 로그를 봐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맥에서는 여태까지 어떤 프로그램으로 해야 하는지 몰랐는데.

일단 Windows에서는 TeraTerm을 많이 사용하는거 같은데 Mac용으로는 어떤프로그램으로 보는지 몰랐다.

시리얼 로그를 보는 프로그램으로는

  • Minicom
  • Zterm
  • Screen

이 있고

minicom이 가장 낳아 보였고, 간결함은 screen이 압도적인거 같다. 심지어 screen은 설치도 필요없이 기본 내장이다.

Mac에 시리얼 포트가 없으므로 USB2Serial 젠더로 연결하고 해당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dev/tty.usbserialXXXX 라는 디바이스가 보일 것이고

$screen /dev/tty.usbserialXXXX 9600
페이지:«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