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체사진(으)로 태그된 글들"
페이지:«123»

백조자리 풀 샷

2009-06-08   //   alexken작성   //   별자리, 천문  //  1 Comment

이제는 지지난주가 되버린 5월 30일 찍은 백조자리 풀 샷

백조자리

Nada이건호님이 만들어 주신 Nikon STL 어뎁터를 이용해서, Nikkor 50mm F1.2 렌즈를 이용해서 찍었다.

F1.8로 조이면 충분할꺼라 생각했고, F1.8이면 정말 짧은 시간에도 이미지를 팡팡 생산해 낼꺼라 생각했는데, F1.8전면 마스킹에도 주변부 별은 혜성처럼 보여서, 결국은 F4까지 조였더니 주변부 별까지 동글동글해졌다.

전갈자리를 먼저찍고, 백조자리를 걸어놓고 자고 일어났더니, Windows Update 후에 재부팅 되어 있었다. 결국은 달랑 2장씩…(된장 M$…)

█ 촬영정보

촬영 일시 : 2009년 5월 30일 촬영 장소 : 덕초현 하늘이 천문대 촬영 장비 : STL11000 + EM200Temma2Jr + Nikkor 50mm F1.2 @ F4 + Astrodon Ha(6nm)LRGB filters 노출 시간 : L:Ha:R:G:B = 10:20:6:6:6 단위 촬영시간 : Ha = 10, RGB = 각 3분 이미지 처리 : Align, Combine, Stack : Maxim 후처리 : Adobe PS3

오랜만에 달사진

2009-06-06   //   alexken작성   //   천문  //  1 Comment

지난주 5월30일 가서 찍은 달사진. Meade 14인치 초점거리가 3500mm인데 풀프레임인 5D에서 기가 막히게 꽉찬다. 반달까지이고, 보름달의 경우는 넘치게 된다. 시상은 그렇게 좋지 않아 디테일은 없는 편이었다. 초점도 성의없이 뷰파인더만 보고 대충 잡았다. 그래서 확 리사이징.

반달

17회 천체사진전공모전 동상

2009-03-21   //   alexken작성   //   천문  //  1 Comment

오늘 천문연구원에서 주체한 천체사진전 발표가 있었다. 올해는 동상 이었다. 그랜드 슬램을 위해서는 차라리 입선이 필요했었는데….

동아 사이언스 동아 일보(PDF)

내년엔 좀 더 분발 해야겠다.

과거 천체사진전 수상 경력 2006년 동상 2005년 장려상

IC1805 하트 성운

2009-01-13   //   alexken작성   //   성운, 천문  //  No Comments

태아 성운과 같은날 찍은 성운이다. 하트모양과 같아서 하트성운이라 불리우지만, 우리 아마추어들은 민망한 성운이라 부른다. 이 이미지에서도 중앙 아랫부분이 상당히 민망하게 잘 나왔다.

태아 성운과 상당히 인접해 있어 500mm화각에 4장 모자이크 하면 함께 넣을 수 있어서 모자이크 하려다가 중간에 잠들어 버렸다.

Nada에는 예전에 올렸는데 정작 내 블로그에는 올리지 않아서 이제서야 올린다.

하트 성운 하트 성운

█ 촬영정보

촬영 일시 : 2008년 11월 20일 촬영 장소 : 덕초현 하늘이 천문대 촬영 장비 : STL11000 + EM200Temma2Jr + Epsilon180 + Astrodon Ha(6nm)LRGB filters + LPS-P2 filter 노출 시간 : L:Ha:R:G:B = 2:60:9:9:9 단위 촬영시간 : Ha = 10, RGB = 각 3분 이미지 처리 : Align, Combine, Stack : Maxim 후처리 : Adobe PS3

IC1848 태아 성운? 강아지 성운? Embryo Nebula?

2009-01-13   //   alexken작성   //   성운, 천문  //  1 Comment

11월 20일 가족들과 함께 가서 찍은 태아 성운이다. 보통은 태아 성운이라고 불리우지만, 이번에 찍고 보니 태아 보다 강아지 스러운 느낌이 들어 강아지 성운으로 이름 붙여봤다.

보통 인공위성이 지나가면 이미지 합성단계에서 제거하지만, 이번에는 B채널에서 유성이 지나가서 일부러 삭제하지 않고, 살려봤다.

태아 성운

█ 촬영정보

촬영 일시 : 2008년 11월 20일 촬영 장소 : 덕초현 하늘이 천문대 촬영 장비 : STL11000 + EM200Temma2Jr + Epsilon180 + Astrodon Ha(6nm)LRGB filters + LPS-P2 filter 노출 시간 : L:Ha:R:G:B = 2:60:9:9:9 단위 촬영시간 : Ha = 10, RGB = 각 3분 이미지 처리 : Align, Combine, Stack : Maxim 후처리 : Adobe PS3

NGC1499 캘리포니아 성운

2008-12-11   //   alexken작성   //   성운, 천문  //  3 Comments

10월 21일 찍은 팩맨(IC281), 해파리(IC443)와 함께 마지막으로 캘리포니아 성운(NGC1499) 성운이다.

지난번 냉각 DSLR로 찍은 캘리포니아에 비해서는 디테일 측면에서 장족의 발전이고, 이미지 처리 색감은 지난번 장미와 더불어 좀 오바해봤다. 오바 할수 있다는 얘기는 컬러 SNR이 어느정도 받쳐준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같은날 찍은 해파리나 팩맨의 경우는 IC 대상이라 그런지 훨씬 어둡고, 효과를 과하게 주면 바로 무너진다.

오른쪽 아래 부분 별상이 심하게 날라서(Epsilon 광축 문제) 다음주에 다시가서 L 이미지 2분짜리를 추가로 찍어서 보충해 줬다.

요대목이 딜레마다. 비슷한 초점거리(500mm 근처)인 FSQ(F5)와 Epsilon(F2.8)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나로서는 같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얻을 것이냐, 시간은 오래 걸리더라도 정확한 정보를 얻을 것이냐의 문제인데, 아직은 하루밤에 여러작품을 건지기 위해서 Epsilon으로 찍고 있다.

비네팅은 플랫을 찍으면되고, 광축은 잘 손봐주면되고, 보정렌즈때문에 생긴 색수차는 필터별 초점 따로 잡으면 되니… 결론은 Epsilon은 양날의 지는 칼과 같다. 잘쓰면, 여타 경통과는 비교할수 없는 이미지를 쏟아내지만, 각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면 전부다 스트레스로 돌아올것이기 때문에.

수동기어의 스포츠카랑 오토매틱 세단 중에 당신의 선택은???

캘리포니아 성운 (언제나 처럼 클릭해서 크게볼수 있음)

█ 촬영정보

촬영 일시 : 2008년 10월 21일 촬영 장소 : 덕초현 하늘이 천문대 촬영 장비 : STL11000 + EM200Temma2Jr + Epsilon180 + Astrodon Ha(6nm)LRGB filters + LPS-P2 filter 노출 시간 : Ha:R:G:B = 120:6:6:12 단위 촬영시간 : Ha = 10, RGB = 각 3분 이미지 처리 : Align, Combine, Stack : Maxim 후처리 : Adobe PS3

IC443 해파리 성운

2008-12-11   //   alexken작성   //   성운, 천문  //  1 Comment

팩맨(IC281)과 같은날 찍은 IC443 해파리 성운이다. 어두운걸 알기에 다른 대상보다 Ha를 2배(12장) 더 많이 찍었다.

이전에도 찍은 적이 있는데 역시 11000의 넓은 화각에 대상이 시원스런 느낌이다. ST2000에서는 해파리만 들어왔다면, 이번 STL11000에서는 주변 먹물 뿜는 모습까지….

둘다 epsion 160, 180으로 찍어서 FL은 530, 500으로 비슷한 편이다.

해파리 성운

해파리 성운

█ 촬영정보

촬영 일시 : 2008년 10월 21일 촬영 장소 : 덕초현 하늘이 천문대 촬영 장비 : STL11000 + EM200Temma2Jr + Epsilon180 + Astrodon Ha(6nm)LRGB filters + LPS-P2 filter 노출 시간 : Ha:R:G:B = 120:6:6:12 단위 촬영시간 : Ha = 10, RGB = 각 3분 이미지 처리 : Align, Combine, Stack : Maxim 후처리 : Adobe PS3

NGC281 팩맨 성운

2008-11-26   //   alexken작성   //   성운, 천문  //  2 Comments

지난 금요일 찍은 대상중 ngc281 팩맨 성운. Ha 영상은 Epsilon 10분 6장이면 충분한 SNR을 가진 이미지를 얻을수 있었으나, RGB는 그렇지 못했다. 더 정확히는 밝은 대낮에 런닝을 이용해 RGB 플랫을 찍었는데, 밝다보니 셔터스피드가 0.02초 머 이런 정도이니, 이렇게 짧게 찍은 플랫영상은 적용하면 웃겨진다는걸 알았다. 담번에는 제대로 된 스카이 플랫을 찍거나, 좀더 어둑해진후에 플랫을 찍어야 겠다.

RGB 정보가 형편없어서, saturation 값을 올리면 색상 정보가 금방 무너져서, 플랫 촬영후 처리하려다가 결과가 궁금하기도 해서 처리. 팩맨성운 팩맨성운

█ 촬영정보

촬영 일시 : 2008년 10월 21일 촬영 장소 : 덕초현 하늘이 천문대 촬영 장비 : STL11000 + EM200Temma2Jr + Epsilon180 + Astrodon Ha(6nm)LRGB filters + LPS-P2 filter 노출 시간 : L:R:G:B = 60:6:6:12 단위 촬영시간 : L = 10, RGB = 각 3분 이미지 처리 : Align, Combine, Stack : Maxim 후처리 : Adobe PS3

NGC2237 장미성운

2008-11-03   //   alexken작성   //   성운, 천문  //  3 Comments

금요일 날이 맑아 덕초현으로 달렸지만, 고속도로 내내 안개속에 10미터 앞도 보이지 않는 날이었다. 사진은 거의 포기하고 나다천문대에 가서 술한잔 하다가 조화백님 호출받고 천문인마을에서 와인한잔 하다가 안개가 잠시 가라앉아서, 찍은 대상인데, 1시간뒤 다시 안개가 올라와서, 원하던 노출을 못줘서 약간 아쉬움이 남는다.

Ha 영상은 10분 4장 찍혔는데, 중앙부는 쓸만하고, 어두운 부분은 S/N비가 조금 아쉽고, 컬러는 3분 2장씩 찍혀있어서, S/N비가 많이 부족해서, 이미지처리가 많이 힘들었다. 장미성운

<a class="imagelink" href='http://www.astronet.co.kr/xe/files/attach/images/2590/503/133/11d36080da1c372594368eec3315ee28.jpg‘ title=’장미성운 rel=’lightbox’>장미성운 █ 촬영정보

촬영 일시 : 2008년 10월 31일 촬영 장소 : 덕초현 하늘이 천문대 촬영 장비 : STL11000 + EM200Temma2Jr + Epsilon180 + Astrodon LRGB filters + LPS-P2 filter 노출 시간 : L:R:G:B = 40:6:6:6 단위 촬영시간 : L = 10, RGB = 각 3분 이미지 처리 : Align, Combine, Stack : Maxim 후처리 : Adobe PS3

2006년 12월23일 장미 2005년 2월16일 장미

페이지:«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