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에 해당하는 글들
페이지:«1...7891011121314»

[장비] QHY 8 CCD

2007-11-19   //   alexken작성   //   천문  //  1 Comment

qhy8ccd.jpgSBIG ST2000을 11000 뽐뿌 때문에 팔아버리고, 정작 STL11000은 못 사고서 한동안 놀고 있는 동안, 중공산 CCD를 발견했다.

대략 가격은 1/5인데, 스펙이 아주 훌륭하다. 흑백이 아닌게 단점인데, 요즘 컬러 CCD를 다시 재조명 하면서 그렇게 나쁘지 만은 안을꺼라는 확신에 김형석씨랑 둘이서 국내 2대 도입했다.

CCD는 3110 x 2030라는 고 해상도이고, 면적도 35mm 판에는 못미쳐도 대략 넓다. Nikon의 D80이랑 같은 CCD이다. 그럼 DSLR이랑 뭐가 다르냐고 하겠지만,

  • 일단 냉각이 된다. – 대충 30도 정도 떨어트리면 노이즈는 1/8로 줄게 된다.
  • 16bit AD Convert를 가진다. – 각 픽셀별로 0~255 사이 값이 아닌 0~65535 사이의 값을 저장하므로 계조가 그만큼 좋다.
  • 이 두가지가 셔터도 없고 사용하기 불편하지만 천체용 CCD의 대략적인 특징이다.

    감도도 QE: 60% at Green (Peak) , 50% at Blue and H.a으로 ST2000과 같은 CCD들이 30%미만인거 생각하면 나쁘지 않고, KODAK에 비해 Sony CCD들이 그러하듯이 10 분 다크 프레임에서도 1000~2000 ADU 값들만 분포할 정도로 노이즈 면이 훌륭하다.

    많은 기대를 하게 하는 CCD임에는 틀림이 없다.

    주소지가 칭화대학교 인거 보니 대학원생인지, 교수인지, 아님 대학교에 입점한 벤쳐 캐피탈인지 알수는 없지만, 암튼 영세하고 알려지진 않았지만, 가능성 만큼은 커 보인다.

    실은 이번 주말에 hanury 천문대로 달려서 FirstLight를 시도하였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사진 한장 못 건지고 왔다.

    메시에 페이지 Ajax 도입

    2007-02-17   //   alexken작성   //   기술, 천문  //  1 Comment

    메뉴에서 [astro] 에 가서 [메시에]를 클릭하면 그냥 [메시에]가 있고, [메시에(Ajax)]라는게 지금 일시적으로 보인다.

    비록 두 메뉴를 아무리 클릭해봤자 똑같이 보일 뿐이지만, 메뉴 이름 그대로 ajax를 도입한 쪽이 좀더 빠르게 느껴지고 반응이 신속하게 보일거다.

    원래 https://hanury.net/wp/astro/messier?xsl=# 와 같이 xsl 번호를 GET으로 php를 넘겨주면 messier.php 페이지는 xml을 가져와서 xslt를 적용해서 html로 변환하고 클라이언트에게 넘긴다. 이 동안 클라이언트는 먹통이 된다. 그리고 새로 가져온 페이지는 전체 리로드 하게 되어 화면이 한번 꿈뻑하게 된다.

    하지만 [메시에(Ajax)] 페이지는 전체 리로딩 없이 아래 표시한 데이터 영역만 치환될뿐 페이지는 리로드 되지 않는다. 페이지 내에서 생성한 XMLHttpRequest가 계속 서버랑 통신 할 뿐이다.

    다음과 같이 요즌 뜬다는 ajax 스타일로 변경하였다.

    1. 그래서 messier.php에서 xml을 가져와서 xslt를 적용해서 html로 변환하는 부분을 다른 php로 뽑아내고
    2. 컨텐트 부분에 &t;div id=”messier”>를 삽입하고
    3. 링크를 누르면 getMessier를 부르고 그 안에서 sendRequest를 다시 부르는데
      function getMessier(n){
          sendRequest(on_loaded, '&xsl='+n, 'GET', 
                      '/scripts/messier.php', true,true );
      }
      
              XMLHttpRequest 내장객체를 생성해서 1에서 따로 뽑아주었다는 php로 렌더링할 xslt정보와 함께 GET으로 호출
              이후 서버의 응답을 기다리는게 아니라
    4. if(obj.readyState == 4 ){ on_loaded(obj); } Ajax의 A가 Asyncrous 이듯, onload 상태가 되었을때 수행할 callback 함수만 지정하고 다음 일을 계속 할수 있다. 물론 막간을 이용해서 anymated gif로 진행중임을 표시해주는 센스가 있으면 좋겠지만 난 그냥 귀찮아서 아무것도 안해줌. 그래도 마우스 휠 조자 안 먹는 상태보다는 낳지 뭐.
      function on_loaded(ob){
          var res = decodeURIComponent(ob.responseText);
          document.getElementById('messier').innerHTML = res;
      }
      
    5. 서버에서 처리가 다 되면 호출 했던 XMLHttpRequest가 서버로 부터 응답을 받고
    6. callback함수로 지정한 on_loaded함수가 호출 되고
    7. 이 함수는
      의 innerHTML에 서버로 부터 받은 결과를 써 넣어준다.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 코딩량도 별로 없고, 훨씬 직관적인거 같다. 어느정도 더 다듬어 지면 그냥 버전을 ajax 버전으로 통합해 버려야 겠다.

    12월 23일 천문인 마을에서 II

    2007-02-07   //   alexken작성   //   인생, 천문, 하늘이  //  No Comments

    12월 23일 천문인 마을에서 I 이란 글을 쓴지가 언제인데 이제서야 II를 쓴다.

    천문인 마을 부근을 Sony hc3로 찍었는데, hdcam이다 보니, 테입에서 끄집어 내서 편집할 엄두가 안난다. 하드로 불러오면 한시간이 50G가 넘고, h.264 1080 60i로 인코딩 했다가는 컴터 몇일 앓아 누을 것이다.

    앞으로는 어찌 할까나????

    편집 보드도 천차 만별인디…


    Video: Road to Astrovil http://flvs.daum.net/flvPlayer.swf?vid=fqe2wVfClAk$

    제목에 걸맞지 않게 hc3얘기만 했다.

    12월 23일 많은 추억이 있다. 중앙대 코스모스 팀들이 송년회를 가져서 덕분에 울진 꽃게와 맞나는 술을 많이 얻어 마셨다는것과, 니콘에 계시는 채윤석씨가 하늘이 사진도 찍어주고, 그냥 찍어본 장미가 기대외로 맘에 들게 나왔다는거 등등등….

    나다의 동일 글 천문인 마을의 동일 글

    방구석에 떨어지는 일억개의 별

    2007-02-06   //   alexken작성   //   인생, 천문  //  2 Comments

    왠지 제목을 空から降る一億の星를 패러디해서 지어보고 싶었다. 어제 주문한 세가토이즈의 홈스타가 오늘 회사로 도착했다.

    세가 토이즈란 회사에서 만들어서인지 포장을 열자 내용물이 생각보다 조금 작아 보여 장난감 같았다.

    한빛 소프트 정발 판이라 그런지, 220 볼트 어뎁터가 있는건 좋은데, 원판에 있어야할 일본어로 된 해설 CD는 빠져있었다. 그리고, 프로 버전이 새로 나와서인지 오리지널 버전이 좀 싸졌다.

    예전에 환등기 처럼 LED 빛 앞에 슬라이드 필름을 끼우는 형태이며, 기본 제공 소프트는 흑백 별사진과, 별자리 표시 별사진이 제공된다.

    프로 버전의 카가야의 달과 컬러버전의 밤하늘이 갑자기 보고 싶어졌다.

    12분에 1바퀴씩 자전하며, 간간히 떨어지는 유성이 운치난다. 현실과는 다르게 천천히 지나가므로, 소원빌기도 제격인거 같다.

    홈스타 이렇게 생겼음

    집에와서 방안에 불을 끄고 천정에 초점을 맺추니 정말 황홀했다. 지금 강원도 덕초현 하늘이 아닌 80년대 육영천문회 시절 밤하늘을 보는 듯 했다. 지금은 자동차로 3~4시간을 달려가도 볼 수 없는 그때 그 밤하늘… 또한 육영천문회 시절 유경희 선생님이 틀어주신 어린이회관 플라네타리움이 그립다.

    아래 사진은 천정에 별들을 그냥 천체사진 찍듯이 찍어 보았음. Canon EOS 10D+ 50mm 1.8 DDP, RGB 분해및 합성 in Stella Image Curve, Level in PhotoShop 홈스타의 밤하늘

    12월 23일 천문인 마을에서 I

    2007-01-12   //   alexken작성   //   천문  //  5 Comments

    크리스마스 직전인 12월23~24일 천문인 마을에서 찍은 이미지를 이제서야 정리한다 언제나 처럼 Epsilon180+EM200+Astro350D조합에 노출은 성운은 24분, 성단은 12분인데, 가이드 실패 프레임 제외하고 나니, 6분짜리도 발생했다.

    내 사진에 대한 나의 평가는

    장미성운은 이전 CCD로 찍은 장미성운과의 비교 차원에서 찍어보았는데, 냉각 DSLR치고 생각보다 잘 나왔다. 아주 만족한다. 크리스마스 트리는 가이드 문제 때문에 단위 노출을 3분으로 끊었는데 이건 좀 무리였다.(이전 CCD로 찍은 크리스마스 트리) 같은 경통을 사용하시는 이상헌씨 작품을 참고컨데 단위노출을 5분씩은 줘야 할것 같다. M405 & 410 역시 노출을 더 줘야 할거 같다. 게다가 플레밍스타는 긴 꼬리가 화각에서 잘려나갔다. 나머지 산개성단은 그냥 메시에 목록 채우기 용…

    장미성운

    크리스마스 트리 성운

    IC405 & IC410 (올챙이 성운과 플레밍 스타 성운)

    마차부 자리 4개 산개성단 ( M35~M38) 더 보기 >>

    SBIG’s Advanced Imaging Conference

    2007-01-02   //   alexken작성   //   천문  //  1 Comment

    저번달 11-12일 SBIG의 Advanced Imaging Conference 자료인데 향후 SBIG의 개발 방향과 목표등이 나와있다.

    아!! 어떤놈으로 업글 할 것인가??? 11000보다 더 큰놈으로 가자하니, Filter size도 더 커져서, 필터 값도 부담스러울꺼 같고(NarrowBand Filter Set까지 구매할 계획이 있어서… – 아마 필터값이 200만원이 훨씬 초과할거 같다.)

    현실적으로 싼 맛에, 10100이란 놈이 괜찮아 보이는데, 조금 작은데다, 컬러 CCD라서 일단 패스. 궁극의 CCD인 16803 사고 싶은데, SBIG에서 만들어도 1만3천불 정도에 내놓지 않을까 한다.

    로또~~~~라도 안되나? kodak logo코닥의 CCD 제품 사이트

    개략적으로 정리한 내용 보기 더 보기 >>

    11월 18일 덕초현에서…. II

    2006-12-22   //   alexken작성   //   천문  //  No Comments

    지난번 11월 18일 덕초현에서 찍은 이미지에 이어서…

    원래 이번 목표가 오리온성운에서 말머리성운까지 한장으로 담아 내는 것과 북아메리카 성운 모자이크가 목표 였으나, 북아메리카 성운 모자이크는 시간에 쫐겨서 스킵했다.

    위 사진은 h-alpha 사진 흉내내기로, 말머리와 배경은 R 채널을 이용하였고, 오리온 자리는 G채널을이용해서 합성하였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각각의 대상을 따로 처리하였고, 이번에서는 모자이크를 위해서 총 4프레임을 찍어 배경까지 합성하였다. 

     

    페이지:«1...789101112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