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에 해당하는 글들
페이지:«1...567891011121314»

17회 천체사진전공모전 동상

2009-03-21   //   alexken작성   //   천문  //  1 Comment

오늘 천문연구원에서 주체한 천체사진전 발표가 있었다. 올해는 동상 이었다. 그랜드 슬램을 위해서는 차라리 입선이 필요했었는데….

동아 사이언스 동아 일보(PDF)

내년엔 좀 더 분발 해야겠다.

과거 천체사진전 수상 경력 2006년 동상 2005년 장려상

Feather Touch Temperature Compensation Focuser

2009-03-09   //   alexken작성   //   장비, 천문  //  No Comments

3년전에 쓴 뽐뿌 받는 천체 장비 목록들… 목록도 벌써 어느덧 다 채워져 가는 느낌이다.

글 쓸 당시에는 한 10년을 목표로 했었는데 말이다.

원래 글에서 쓴 FLI PDF2는 아니지만 포커서의 최고 명품으로 꼽히는 페더터치에 전용 모터를 추가로 부착하였다.

클러치가 없어, 더 이상 손으로 돌릴 수는 없어졌지만, 컨트롤러로 미세한 단위로 정확히 움직일수 있고, PC와 RS232로 연결되어 컨트롤 할 수 있으며, 전용 악세사리인 온도계까지 부착하여서, 온도변화에 따라 경통이 수축해서 생기는 초점 변화에도 대응하게 된다.

AP eq1200+Meade 14′ acf 세팅완료.

2009-03-09   //   alexken작성   //   장비, 천문  //  No Comments

작년 8월 이병국 교수님께 양도받은 신품 eq1200과 14인치 경통을 드디어 세팅하였다. 문제는 밴드때문이었는데, 미국 패럴랙스에 주문한게 3개월이상 걸리고, 추가 플레이트 제작 및, 15.7인치를 주문했는데 16인치 밴드가 와서 또 시간을 잡아먹었다. 암튼 14인치와 eq1200의 위용은 엄청났다.

꿈에 그리던 미끈하게 빠진 eq1200 적도의 궁극의 경통이라하기엔 그렇고 약간의 모험이긴하지만 구경으로는 14인치나 되는 Meade 14′ RC 뽐뿌의 막장까지 이르러 예전엔 꿈도 못 꾸던 천문대급 장비에 이르르게 되었다.

내키 보다도 훌쩍 커버린 망원경. 혼자서는 무거워서 올리지도 못하고 무게추도 10Kg 4개나 차지하고도, FSQ를 위에 피기백으로 올리려면 10Kg 하나를 더 제작해야 할 판이다.

하지만 퍼스트라잇 대상으로 본 달은 역시나 구경값을 해 주었다. 풍부한 광량에 시원스러움과 동시에 디테일도 나쁘지 않았다. 느린 F(F=10)수에도 불구하고 유일한 장초점(FL=3500mm) 경통으로, 행성및 행성상 성운, 은하 대상 촬영장비로 역할을 해 줄 것이다.

이로서 유리별 천문대의 AP 3총사의 세팅은 대략 완료되었다. AP 적도의의 Parking 3 자세…

사진을 찍어준 명도님께 감사의 한 말씀.

1월 17일 뻘짓후기 – 최악의 상황

2009-01-19   //   alexken작성   //   천문  //  No Comments

지난 8월 인수한 Meade 14인치 ACF와 AP eq1200 마운트를 아직도 세팅을 못하고 있다. 밴드가 없어서인데, 미국의 parallax사가 Meade 14인치용 밴드를 팔고 있었다. (별통에서 C14 밴드를 빌려줘서 올려보니 Meade14가 아주 열받게 조금 더 크다)

8월 수입의뢰한 밴드가 우여곡절 끝에 국내에 들어오고 별통에서 위 아래 플레이트를 제작하고서, 4개월이 지난 이제서야 가족이 강원도로 갔다.

이번엔 촬영 보다는, 세팅된 장비앞에서 기념 가족 사진을 찍기 위해서…

조립했더니 문제가 여기저기서 나왔다. 위사진 보면 크기가 감이 안오겠지만, 적도의가 EQ1200이다. (C8에 EQ-6가 아니라…) 망원경을 올리기 위해서 두손을 머리위로 번쩍들어 장착해야했고, 경통위에 피기백이라도 올릴려면 사다리 타고 올라가야 할판이다. 파인더도 정상위치에 장착했다면 사다리 타고 봐야 할뻔했다. (다행히 밴드 옆면을 쳐내고 다카하시 Finder Holder를 붙이게 가공했다.)

무게추도 작아보이지만, 10Kg짜리 3개이다.(Em200 추는 참고로 5Kg) 밴드만 10Kg가까이 나가버리는 바람에 경통만 달랑 올리고 무게추 3개를 다 써버렸다. 카메라 붙이고, 위에 가이드 경통이라도 올리면 무게 초과( 오늘 결국 10 Kg 하나더 추가 제작 의뢰)

근데 이게 뭔감.

일부러 Meade14 전용이라 수입한 밴드가 이번엔 더 큰거다. 그것도 무려 8mm나

결국은 밴드 내부에 뭔가를 채워야 할텐데… 국민학교 시절 뒷벽 게시판에 사용하는 녹색천과 같은 재질을 구해서 여려겹 덧대야 할꺼같다. 그 재료의 이름을 몰라서 별통에 전화 했더니, 방산 시장 카펫 파는곳에서 구할 수 있다는데, 이름은 별통 사장님도 모르셨다.

인터넷 뒤져보니, 부직포 파이텍스란 소재이고, 전시행사장이나 시상식 레드카펫으로 사용하는 바닥재란다…

담주는 설이고, 다담주에는 꼭 세팅 완료…

IC1805 하트 성운

2009-01-13   //   alexken작성   //   성운, 천문  //  No Comments

태아 성운과 같은날 찍은 성운이다. 하트모양과 같아서 하트성운이라 불리우지만, 우리 아마추어들은 민망한 성운이라 부른다. 이 이미지에서도 중앙 아랫부분이 상당히 민망하게 잘 나왔다.

태아 성운과 상당히 인접해 있어 500mm화각에 4장 모자이크 하면 함께 넣을 수 있어서 모자이크 하려다가 중간에 잠들어 버렸다.

Nada에는 예전에 올렸는데 정작 내 블로그에는 올리지 않아서 이제서야 올린다.

하트 성운 하트 성운

█ 촬영정보

촬영 일시 : 2008년 11월 20일 촬영 장소 : 덕초현 하늘이 천문대 촬영 장비 : STL11000 + EM200Temma2Jr + Epsilon180 + Astrodon Ha(6nm)LRGB filters + LPS-P2 filter 노출 시간 : L:Ha:R:G:B = 2:60:9:9:9 단위 촬영시간 : Ha = 10, RGB = 각 3분 이미지 처리 : Align, Combine, Stack : Maxim 후처리 : Adobe PS3

IC1848 태아 성운? 강아지 성운? Embryo Nebula?

2009-01-13   //   alexken작성   //   성운, 천문  //  1 Comment

11월 20일 가족들과 함께 가서 찍은 태아 성운이다. 보통은 태아 성운이라고 불리우지만, 이번에 찍고 보니 태아 보다 강아지 스러운 느낌이 들어 강아지 성운으로 이름 붙여봤다.

보통 인공위성이 지나가면 이미지 합성단계에서 제거하지만, 이번에는 B채널에서 유성이 지나가서 일부러 삭제하지 않고, 살려봤다.

태아 성운

█ 촬영정보

촬영 일시 : 2008년 11월 20일 촬영 장소 : 덕초현 하늘이 천문대 촬영 장비 : STL11000 + EM200Temma2Jr + Epsilon180 + Astrodon Ha(6nm)LRGB filters + LPS-P2 filter 노출 시간 : L:Ha:R:G:B = 2:60:9:9:9 단위 촬영시간 : Ha = 10, RGB = 각 3분 이미지 처리 : Align, Combine, Stack : Maxim 후처리 : Adobe PS3

나베르(Naver)에 나의 사진이…

2009-01-11   //   alexken작성   //   천문  //  1 Comment

Naver에 홈에 내사진 장미성운이 타이틀로 붙었다.

올초 개편에 추가된 네이버캐스트 내에 오늘의 과학천문가들의 재치 재미난 별명의 성운들 편이 실렸다.

실은 한국천문연구원으로 부터 사진 저작권 사용에 대해 허락을 요구했었고, 비상업적목적에 한에 사용해도 좋다고 한바 있었다…

iPhone/iPod Touch용 iStellar

2008-12-30   //   alexken작성   //   천문  //  2 Comments
iStellar

방금전 소개했던 Nintendo DS용 星ナビ를 만든 astroarts사에서 iPhone/iPod Touch용으로 만든 플라네타리움 소프트웨어인 iStellar이다.

돈주고 구매한 최초의 iPhone용 Apps이다. Apps Store에서 iStellar 입력하면 찾을수 있고, 한국 Apps Store에서도 구매 가능했다. 星ナビ보다는 대폭 저렴한 $8.99이다. 영어/일본어 버전이 있고, 국내에서 구매하면 영문일듯…(아직 모름) Touch를 회사에 두고온 관계로 구입및 다운로드만 했고 내일이 되봐야 나도 설치가 가능할 거 같다.

http://www.youtube.com/v/AmNJRfq-cyA&color1=0xb1b1b1&color2=0xcfcfcf&feature=player_embedded&fs=1

Nintendo DS용 星ナビ

2008-12-30   //   alexken작성   //   천문  //  1 Comment

星ナビ

이전에도 한번 소개한적이 있었고, 개인적으로 손꼽아 기달리던 소프트웨어인 Astroarts사의 星ナビ가 2009년 3월 발매 예정이라고 출시일을 밝혔다. 가격은 8190엔으로 환율 생각하면 상당히 비싼 값으로 책정되었는데, 단순히 소프트웨어만이 아니라, 카드 안에 6축 위치센서를 탑재해서 마치 iPhone이나 iPod Touch와 같은 분위기가 될거 같다. 나만 쓸꺼면 상관 없지만, 가족들과 함께 사용하려면, 한글판 나오면 고려해 보겠다. 하지만 Astroarts가 한글판을 출시할지 계획은 …. 아마 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을거 같다.

페이지:«1...56789101112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