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출근하니, 천문연구원으로 부터 달력과 연하장이 도착해 있었다.
내년 천문연구원 달력에 내 해파리 성운이 실려서 였다. 인쇄 상태를 보니, 레벨이 너무 낮아, 배경이 너무 어두워서, 어두운 영역의 성운기가 다 죽어버려서, 좀 불만이긴 하지만….
회사에 출근하니, 천문연구원으로 부터 달력과 연하장이 도착해 있었다.
내년 천문연구원 달력에 내 해파리 성운이 실려서 였다. 인쇄 상태를 보니, 레벨이 너무 낮아, 배경이 너무 어두워서, 어두운 영역의 성운기가 다 죽어버려서, 좀 불만이긴 하지만….
위에 보이는 tab중에 astro(beta)에서 beta를 지웠다.
그동안 xslt 렌더링 문제 끝에 서버에서 렌더링 하는 편법을 발견해서 APOD, messier 페이지 모두 동작하게 하였다.
messier 페이지는 messier DB를 다양한 보기로 보여준다.
테이블 보기 | 종류별 | 밝기순 | 거리순 | 촬영 시기 | 촬영 장비(초점 거리)
테이블 보기 는 전형적인 보기이고, 종류별은 이름 그래도 종류별로 그룹지어 보여주고, 밝기순과 거리순은 은 별 쓸모는 없겠지만 그냥 호기심으로…. 촬영시기는 RA를 근거로 몇월에 촬영하면 좋을지를 알려주고, 촬영장비는 대상의 시직경을 근거로 초점거리 몇미리로 찍어야 적당할지 도움을 주겠다..
그나저나 messier 대상들은 밝아도 작은 대상 뿐이여서, STL11000을 산다한들 현재 내 망원경으로 찍을 만한 메시에 대상은 별로 없구만.
오늘이 12월 초가 되었으니, 보름이나 지났지만, 천체사진이란게 본디 이미지 처리에 상당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제서야 포스팅 하게 된다.
게다가 요즘 회사가 바쁘기 까지 해서 하루에 많이 처리하지도 못했당….
2번 출사에 나가봤지만, Astro350D 썩 괜찮은 물건이다. 이렇게 광고 해준다고 돈받는것도 아니지만….
처음 10D로 사진찍다 ST2000XM CCD 카메라로 찍다가 다시 DSLR로 돌아오면서 써보면서의 소감은 대략 이렇다.
10D로는 많은 한계와 좌절(??)을 느꼈지만, 빠른 경통과의 조합으로, 컬러 버전인 ST2000XCM 정도의 사진은 가능할 것이란 생각이다. 물론 내가 썼던 ST2000XM은 흑백버전이므로, LRGB촬영으로 얻을 수 있는 효율성에 당해 낼수 없지만, DSLR과 같은 방식인 XCM이라면, 충분히 비슷한 사진을 흉내 낼수 있겠다는 생각이다. 단 위에서도 말했지만 “빠른 경통과의 조합” 이란 말을 했다. 아무리 필터개조에 냉각이라지만, CCD카메라의 감도의 차이는 태생부터 있겠지만, Epsilon경통의 2.8이라는 F 수라면, 그 단점을 커버해 줘주는 느낌이랄까….
11000 뽐뿌에 시달리던 나로서는 하늘이 땜에 제대로 사진 찍을 기회도 없고 해서 1~2년 한량 모드로, 그저 즐기기 용으로 사보았던 냉각 DSLR이지만, 지금까지의 테스트 결과는 가격대 성능비 훌륭하다는 느낌과, 기대이상이란 거다.
하늘이가 태어나고, 거의 1년동안 천체 사진을 찍지 않다가, 10.21-22일 나다 스타파티가 있어 모처럼, 덕초현에 가게 되었다. 냉각 CCD 카메라인 ST2000은 최승용씨한테 넘기고, 이윤씨의 냉각 DSLR을 구매하게 되어, 새로 구매한 Epsilon180으로 모처럼 천체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오랜만에 찍는다는 핑게치고는, Em200 극축도 못맞추는둥 어이없는 실수를 많이 하였다. 게다가, 노트북도 들고 가지 않아, 초점을 액정화면으로만 맞추고, 가이드도 하지 않고, 메모리 카드도 들고가지 않고, 노출시간도 정말 성의 없게 주는둥, 실수와 열정부족의 연발이었다.
그나마 이정도 나온게 이윤씨의 냉각 DSLR의 덕이 아닐까 싶을 정도이다.
사진은 차례대로 안드로메다 은하, 플레이아데스 성단, 북아메리카 성운이다.
그러고 보니 종류별로 하나씩 찍었네.
Astro350D 개선사항: Takahashi Wide Mount가 유격이 있는데, Canon350D에 냉각장치를 붙이면서, 그쪽이 상당히 무거워서, 빠른 F수의 엡실론 경통에서, 한쪽 면은 초점이 맞은 반면, 반대편은 초점이 않맞았다. 이건호씨처럼 2인치 배럴로 개조할수도 있겠지만, 담번에는 고무줄을 가져가서 경통이랑 카메라를 묶어줘 봐야겠다.
이건호님이 정리하신 2006 NadA스타파티. (하늘이 사진 한장 보너스)
천체사진 찍으면서 늘 아리까리한 문제이며 아직도 해답을 모르는 문제이다.
인터넷에서 본글을 간략히 요약해 본다.
극단 적인 예로, 천체 사진을 찍기위해 60분 짜리 한장을 찍는것과, 2분짜리 30장을 찍어서 합성(Stacking)하는 경우 어떤게 더 좋을까? 전체 촬영 시간은 각각 60분으로 같다.
결론은???
정답은 없고, 상황에 따라서 다르며(관측 환경, CCD 종류, 적도의의 가이드 정밀도…), 결국 본인의 상황에 최적의 타협점을 찾아야만 한다.
노출시간 = min(관측지의 광해 정도와 본인의 광학계의 F수와 CCD의 blooming 및 감도등을 고려해서 Saturation 될때 까지의 최대 노출시간, 적도의의 가이드 에러가 나지 않을 범위의 최대 시간)
장수 = 많으면 많을 수록…. 하지만, 평균 합성에 의해 노이즈는 촬영매수의 제곱근에 비례해서 줄어드므로 아주 많을 필요는 없는거 같다. 예전 Nada의 이준화 교수님 실험값에 의하면 8장정도면 충분히 훌륭해 보였다. (단 냉각 CCD의 얘기이고, DSLR의 경우는 훨씬 더 많이…..)
추가 예전에 황인준님이 경험에서 쓴 글에서 한국의 기상상황이 Seeing이 그다지 좋지 않아 장시간 노출이 불리하므로 짧은 광학계로 많은 장수를 찍는게 유리하단 글도 기억에 난다. 그러므로, 요즘 빠른 Epsilon 광학계가 인기있는 이유이기도 하고, 나역시 Epsilon 광팬이다.
언젠가는(10년~20년) 구입하고 싶은 장비들 목록이다.
예전에 만들었던 한반도 구름사진 페이지 https://hanury.net/wp/astro/claud/ 가 호스팅 시작후에 서버 설정에 의해 안돌아 가고 말았다.
호스팅을 맏긴 cafe24에서 php 5를 지원 안해서
•php4에서 stream_get_contents()가 지원이 안되고, •sensitive URL Open을 막아서 인데, 어쩔수 없이
$fp = fopen($url, 'r'); $str = stream_get_contents($fp);
위에 2줄로 끝나던 코드를 my_stream_get_contents란 함수를 추가해주고(php4에서 없으므로) fopen만으로 열던 것을 socket을 이용해서 열도록 수정해야만 했다…
function my_stream_get_contents($fp){ $buf = ""; while(!feof($fp)){ $buf .= fread($fp,1024*8); } return($buf); } $fp = fsockopen($host, 80, $errno, $errstr, 12); fputs($fp,"GET $url HTTP/1.0\r\n"); fputs($fp,"Host: $host\r\n"); fputs($fp,"Referer: http://$host\r\n"); fputs($fp,"User-Agent:Mozilla/4.0(compatible;MSIE6.0;Windows NT5.1)\r\n\r\n"); $str = my_stream_get_contents($fp);
아! 점점 코드 지저분해 진다.
미즈엔 2004년 6월호(통권 181호)에 우리부부가 실린 적이 있다. 벌써 2년 지났네…
기사의 위치는 여기인데, 아무래도 로그인 해야 보이는 듯…
그래서 미즈엔 잡지에 실린 글을 pdf로 만들어서 게시한다.
장마라, 별 볼일 없지만, 날씨 좋은날 주말이 다가오면 자주 찾아가는 곳 중의 하나가 기상청 위성 사진 페이지이다.
그래서 기상청에서 현재 위성 이미지를 가져와서 보여주는 페이지를 astro 메뉴 밑에 작성하려고 짜 보았다.
php에서 httprequest 같은거 없나 하고 한참을 찾았는데, 그냥 파일처럼 처리하면 되네…
역시 모르면 고생…
$url = 'http://www.kma.go.kr/kor/weather/picture/picture_01.jsp'; $base_url = 'http://www.kma.go.kr'; $fp = fopen($url, 'r'); $str = stream_get_contents($fp); if ( ereg ( "(/kma_sat/DATA/MTSAT/GPL/wli[0-9]+\.gif)" , $str, $reg)){ echo ""; }else{ echo "fail to get image"; }
xml로 제공해주면 좋으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