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에 해당하는 글들
페이지:«1...32333435363738...46»

iPod touch 1.1.2 탈옥기

2008-01-08   //   alexken작성   //   기술, 인생  //  2 Comments
alexken의 새 장난감

지난 10월달 콜로라도 출장때 applestore에서 iPod touch를 샀다. iPhone과 touch 사이에서 1시간을 넘게 고민하다가, 카메라는 별 필요가 없고, 전화는 무용지물이고, bluetooth 때문에 10만원이란 거액과 저울질 하다가 bluetooth가 되어도 keyboard는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touch로 결정.

사자마다 1.1.1 jailbreak 해서 재밌게 잘 사용하다가, 어느날 우연히 iTune가 1.1.2로 업글 하겠냐는 메시지에 무심고 OK. 바로 밋밋한 오리지널 touch로 복귀후 한달 이상을 처박아 놓고 사용않다가, 최근에 다시 이것저것 설치후 휴대용 웹브라우저+장난감으로 사용중…

웹에 글들이 Windows기준이라, 다시 정리.

  1. iPod touch 종료

  2. 슬립+홈 버튼을 누른채 10초후 슬립버튼만 해제

  3. 복구 모드로 iTunes 실행

  4. option + 복원 클릭(Windows는 shift + 복원 클릭)

  5. ~/Libraries/iTunes/iPod Software Updates/에 백업되어 있는 1.1.1 이미지로 복원

  6. iPod에서 safari 실행후 http://jailbreakme.com에서 Installer 설치

  7. Installer 로 Tweaks(1.1.1)안에 있는 OktoPrep 설치

  8. iTunes에서 1.1.2로 업데이트 후 iTunes 종료

  9. 1.1.2용 jailbreak download 후 안에 있는 jailbreak.jar 더블클릭 (http://conceitedsoftware.com/iphone/site/112jb.html 에서 다운)

    jail2.png
  10. http://codedesign.tistory.com/16 에서 한글 입력기 설치 (두번의 재시동 꼭 지켜야 함 – 이거 땜에 복원만 두번함.)

  11. http://repo.us.to에서 iPhone 용 프로그램 설치

  12. Unix subsystem 설치

  13. iPod touch 프로그램 설치 공간 확보 에 있는 글대로 설치 공간 확보

  14. Perl설치

    • Installer 로 perl 설치 (PATH에 대제로 추가되지 않는거 같음.)
    • ssh 로 접속
    • vi /etc/profile 에서 PATH opt/iphone/bin 추가

Hanury Observatory Opening

2008-01-07   //   alexken작성   //   인생, 천문  //  No Comments

이제와서 올리기도 민망하지만 exif 정보를 보니 12월 8일. 딱 한달전 사진이다. 그간 연말 연시라고 바쁘기도 했지만, 날도 받춰주지 않았던거 같다.

관측소 완공하고, 김영재님, 남명도님, 스페셜 게스트 김형석님까지 모두 모였으니, 공히 하늘이 관측소 오프닝이 아니었나 싶다.

손가락 파상풍에 새로산 CCD 적응도 되지 않아 장비에 많은 골머리 썩고(가이드 문제, 밸런스 문제, 이슬문제…), 당시 정신적으로도 썩 좋지 않아, 술만 퍼먹고, 거의 바로 뻗어 버린 최악의 관측기 되겠다.

우리별 멤버들에겐 죄송…

img_0203.JPG 육중한 김영재님 30인지 옵세션의 위용 국내 최초+최고+최대 아마추어 장비 30인치 오리온은 정말 엄청났다. 남들은 색깔까지도 보인다고 감탄이었지만, 난 취했는지 여전히 흑백 오리온이었다. –맨정신에 다시 도전해 볼것– 개인적으로 고리(M57)이 시원 스러우니 좋았다.

img_0206.JPG 거기에 비하면 나의 초라한 새로산 FSQ <– 그래도 FisrtLight이었음.

img_0215.JPG 해진후 Hanury 천문대…

이제 월령좋은 주말이면 이곳서 살아야겠다.

NDSL Again

2007-12-04   //   alexken작성   //   인생  //  1 Comment

IMG_0149

국내 정발 되기전에 작년 미국 아틀란타 출장길에 흰색 NDSL을 사서 잘 하다가 연말께쯤 천문인 마을에서 분실하였다.

그동안 NDSL 없이 살다가, 이번에 미국 콜로라도 출장길에, 미국이나 국내나 거의 가격차이도 없는데, Wall Mart에서 쇼핑중에 그냥 장보듯이 하나 더 질러줌.

몰랐는데, 검붉은 나의 NDSL이 아직 국내에는 출시되지 않은 컬러란다.

그동안 닥터가 많이 개선되어 있었다.

예전에 앞뒤로 2개나 필요했었는데

하나로 깔끔하게…

지금은 “도와줘 리듬 히어로”에 몰입중…

[장비] QHY 8 CCD

2007-11-19   //   alexken작성   //   천문  //  1 Comment

qhy8ccd.jpgSBIG ST2000을 11000 뽐뿌 때문에 팔아버리고, 정작 STL11000은 못 사고서 한동안 놀고 있는 동안, 중공산 CCD를 발견했다.

대략 가격은 1/5인데, 스펙이 아주 훌륭하다. 흑백이 아닌게 단점인데, 요즘 컬러 CCD를 다시 재조명 하면서 그렇게 나쁘지 만은 안을꺼라는 확신에 김형석씨랑 둘이서 국내 2대 도입했다.

CCD는 3110 x 2030라는 고 해상도이고, 면적도 35mm 판에는 못미쳐도 대략 넓다. Nikon의 D80이랑 같은 CCD이다. 그럼 DSLR이랑 뭐가 다르냐고 하겠지만,

  • 일단 냉각이 된다. – 대충 30도 정도 떨어트리면 노이즈는 1/8로 줄게 된다.
  • 16bit AD Convert를 가진다. – 각 픽셀별로 0~255 사이 값이 아닌 0~65535 사이의 값을 저장하므로 계조가 그만큼 좋다.
  • 이 두가지가 셔터도 없고 사용하기 불편하지만 천체용 CCD의 대략적인 특징이다.

    감도도 QE: 60% at Green (Peak) , 50% at Blue and H.a으로 ST2000과 같은 CCD들이 30%미만인거 생각하면 나쁘지 않고, KODAK에 비해 Sony CCD들이 그러하듯이 10 분 다크 프레임에서도 1000~2000 ADU 값들만 분포할 정도로 노이즈 면이 훌륭하다.

    많은 기대를 하게 하는 CCD임에는 틀림이 없다.

    주소지가 칭화대학교 인거 보니 대학원생인지, 교수인지, 아님 대학교에 입점한 벤쳐 캐피탈인지 알수는 없지만, 암튼 영세하고 알려지진 않았지만, 가능성 만큼은 커 보인다.

    실은 이번 주말에 hanury 천문대로 달려서 FirstLight를 시도하였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사진 한장 못 건지고 왔다.

    [java] reflect on java

    2007-11-13   //   alexken작성   //   기술  //  No Comments

    회사서 Class를 조사할 일이 있는데 reflect를 까먹어서 한동안 googling 해서 다시 학습…

    java.lang.String의 method를 출력하는 루틴의 골자만 요약하면….

    import java.lang.reflect.*;
    
    public class ClassExam{
    
        public void printClassInfo(String className){
            try{
                Class a = this.getClass().getClassLoader().loadClass(className);
                Method[] methods = a.getDeclaredMethods();
                for(int i=0; i<methods.length; i++){
                    System.out.println(methods[i].toString());
                }       
            }catch(Exception e){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lassExam a = new ClassExam();
            a.printClassInfo("java.lang.String");
        }
    }
    

    MacOSX에서 한텀 사용하기

    2007-09-12   //   alexken작성   //   기술  //  No Comments

    예전에 사용하던 hanterm이 그리워 찾아보았다.

    hanterm.png

    문제는 폰트였다. 한텀엔 역시 카이스트-이야기체 여야만 한다. 근데, 나같은 컴맹이 X11의 font 쪽을 알리도 만무하고… 카이스트-이야기체를 구해서 X11의 폰트로 등록하고 한텀에서 띄우기까지 오늘 하루 처절했다.

    암튼 bdf –> pcf로 변환해서 X11 폰트 디렉토리로 옮기고, fonts.dir을 업데이트 하고 X11 font cache를 rehash 해줘야 비로소 띄울 수 있었다.

    http://alexken.homeip.net;/files/kaist-iyagi.tar.gz;kaist-iyagi.tar.gz 다운 받기;
    1. Makefile을 연다
    2. DESTDIR    = /usr/X11R6/lib/X11/fonts/misc 로 설정한다.
    3. COMPRESS   = gzip
    4. sudo make install 한다.
    5. cd /usr/X11R6/lib/X11/fonts/misc
    6. xset fp rehash
    7. xlsfonts | grep iyagi 로 설치를 확인

    대략 맞는지 가물 가물

    페이지:«1...3233343536373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