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에 해당하는 글들
페이지:«1...33343536373839...46»

Wii 예찬

2007-08-11   //   alexken작성   //   인생  //  2 Comments

Wii를 1주일 전에 샀다. 이로 인해 최신은 아니지만, Microsoft, Sony,任天堂 게임기를 모두 가지게 되어버렸다. PS3가 매력적이지 않은건 아니지만, 역시 게임기의 즐거움은 화려한 시각이 아니라 게임성 그 자체이다. 그리고 그 중심엔 당근 Wii-mocon의 있다.

任天堂 Wii channel그런데, 초기화면이 말해주 듯 게임은 Wii의 단지 한 슬롯을 차지하는 일부에 불가하고, 뉴스와 날씨를 보고, 웹을 돌아댕기고, 메시지를 주고 받고, 투표를 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기기이다.

HD TV수신카드 한장만 더 장창한다면 더이상 바랄께 없는 꿈의 기기가 될거다.

어제 퇴근 하니 친구 등록도 하지 않았는데, 푸른 LED가 매킨토시 노트북 처럼 쌔근 거리고 있었다. 메시지가 도착했다는 얘기다.

wii_msg.jpg전원을 넣어보니, 任天堂로 부터 메시지가 왔고, 새로운 펌웨어 업데이트에 대한 소개이고, 하겠냐는 메시지였다.

Wii 펌웨어 업데이트를 어떻게 하는지 전혀 모르는 나였지만, 업데이트 과정을 살펴 보면, 전혀 기술적 거부감 없이, 편지를 받고, 편지를 읽어보고, 편지 마지막에 있는 단추한 번 클릭으로 자연스럽운 interaction으로 Version 3.0J로 업그레이드 가능했다.

내가 감동한거는 기술적인거 보다 任天堂의 이 부담없는 업그레드 과정의 감수성이다. 이정도라면 기계에 겁내하는 우리 부모님이라도 자연스레 가능할꺼 같다.

물론 어제 업그레이드에 문제가 많았다. 바로 2ch에서 각종 버그들의 리포트가 실시간으로 떴고, 많은 블로그에서 버그에 대한 조롱이 있었다.

오늘 任天堂로부터 또 한통의 편지가 왔다. 벌써 버그 픽스인가 했지만, 그렇지는 않고, 어제 업데이트의 상세한 버그 내용과 겁나 죄송하다는 사죄 메일이었다.

버그로 인해 크게 불편하지 않고, 쉬쉬 숨기는 모습보다 떳떳히 사죄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인간을 감동시키는 기기는 첨단 테크놀로지로 무장한 강력한 하드웨어가 아니라, 사소할지라도 감수성을 지닌 태도와 사용자와의 interaction하는 방식일께다.

VaioUX + MacOSX + Wiimocon = ???

2007-08-08   //   alexken작성   //   기술  //  No Comments

VaioUX + MacOSX + Wiimocon의 조합이야 말로 궁극의 조합이다.

다시 풀어서 MacOSX가 깔린 포터블한 미니 컴퓨터 게다가 Wiimocon으로 컨트롤… 이라

이걸로 키노트 한번 하면 정말 작살이겠다…

돈주고 산 Remote Buddy 란 프로그램이 정말 아깝지 않다. Wiimocon으로 컨트롤 하는것이 Apple Remocon보다 더 좋은 점은 적외선이 아니라 블루투스 이기 때문에 꼭 컴터를 향해서 조작할 필요가 없다.

Remote Buddy가 Wiimocon의 모션 센서 기능까지 구현한다거나, 마우스 포인팅까지 되게 한다면 이건 너무 바라는 걸까??

MacOSX on Vaio UX27LN

2007-07-19   //   alexken작성   //   기술  //  3 Comments

4.5’의 엄청난 휴대성에, Viata가 기본 탑재된 나쁘지 않은 성능의 피씨sony-vaio-ux.jpg UX 사용자로서, UMPC로 분류하면 좀 섭하다. 미니피씨라고 불러다오. 이전에 외국글에서 UX에 MacOSX를 설치했던글을 보았다. Vista가 다소 무거운거 같아 XP로 갈아타려던 차, 재미삼아 MacOSX를 깔면 어떤 용도의 물건이 될까 호기심에 설치해 보았다. 2~3일 써 볼 계획이었다. 내겐 첨으로 깔아본 해킨토시인 셈이다.

근데, 이거 물건이다. 2~3일 써보려다가, macbookpro를 재끼고, 주 개발 피씨로 자리 잡아 버렸다.(mbp는 leopard깔고서 이것저것 시험중…)

Apple에서 Newton이후 PDA 비스므리한 제품군을 작정하고 안만들고 있는데, 그에대한 개인적인 항거이다. macbookpro에 tablet기능이 없는 관계로 Ink란 놈을 몰랐는데, MacOS의 Ink, Vista의 날으는 입력기만큼이나 훌륭하다.(문제가 있다면 한글 필기 입력 안된다는거…푸헐)

Apple은 10인치 이하의 tablet 제품을 출시하라.

http://www.micropctalk.com/forums/showthread.php?t=2140

사전 준비

10.4.8 JaS AMD-Intel-SSE2-SSE3 이미지를 구한다.(어디서 구하는지는 난 모름.) BIOS에서 LCD Stretch를 켜준다.(1024*600 해상도 지원을 위해서 추가작업 하기 싫다면…)

인스톨

별 특별한 사항 없이 그냥 잘 인스톨 된다. 단 선택항목을 sev7en 처럼 선택해준다.

추가로 잡아 줄 드라이버

■비디오는 그냥 잡힌다. 1024*600 모드로

■블루투스도 아주 잘 잡힌다. 인스톨후 바로 마우스(애플 무선 마우스) 키보드(씽크아웃사이드) 등록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UBS2.0, Realtek Audio, Power Mgmt

VaioUX Drivers for MacOSX

드라이버 설치법은 전부 pkg를 설치하고, 재시작 버튼을 절대 누르지 말고, 첨부된 S&R Permissions tool로 권한복구후 재부팅해준다.

■유선 네트워크

sudo vi  /System/Library/Extensions/IONetworkingFamily.kext
/Contents/PlugIns/AppleYukon.kext/Contents/Info.plist

에서 IOPCIPrimaryMatch 항목을 다음과 같이 수정 11AB가 제조사ID(Sony) 4351이 제품ID(VaioUX)이다. 마찬가지로 권한복구후 재부팅

IOPCIPrimaryMatch
0x435111AB 

■무선 네트워크 정신건강상 사용할 생각을 접자.

현재 문제점

  • 잠자기 들어가면 깨어날 줄 모른다.(해킨토시는 원래 그렇다나???)
  • 에어포트 사용 불가(요거 좀 아쉽다.)
  • 스피커로 소리가 안나온다.(이어폰으로는 가능)
  • 터치패널도 자동인식되어 사용가능하지만, 얼라인이 불가능하다.
  • 지문인식, 전/후 카메라, 특수버튼 – 애시당초 잡을 생각도 안했다.

[레오파드] Leopard/Lion에서 한영전환을 Shift-Space로…

2007-07-12   //   alexken작성   //   기술  //  8 Comments

이전에 MacOSX에서 한영 전환을 shift+space로 변경하는 방법을 적은 글이 있는데, leopard에 적용해보니 적용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찾아보니, hotkey를 저장하는 plist가 ~/Library/Preferences/com.apple.universalaccess.plist 에서 ~/Library/Preferences/com.apple.symbolichotkeys.plist 로 바뀌었다.

shiftspace.png

변경해야할 값은 Root/AppleSymbolicHotkeys/60/value/parameters/2 의 값을 Number : 131072 로 바꿔주고, 재부팅 하면 한영전환이 Shift+Space로 바뀐다.

추가 2011.11.21 : leopard/ snow leopard/ lion 모두 잘 동작

plist 파일을 수정하려면 Property Editor가 필요하다.

Property List Editor

[레오파드] MacOSX10.5 Leopard 인스톨

2007-07-12   //   alexken작성   //   기술  //  3 Comments

어제 MacOSX10.5에 해당하는 레오파드를 깔았다. Vista는 기대에 비해 몇몇 실망스런 점이 없잖았는데, leopard는 애플 홈페이지에서 이미 여러번 동영상도 보고, 새로 추가되는 기능들도 다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 이것 저것 돌려볼때 마다 사람 감동시키는 매력이 있다.

버그들이 아직 많아서, 계속 쓸지는 의문이지만, 안정화 되어 정식 출시 되면, 구입을 심각히 고려해 봐야겠다.

가장큰 버그는 현재 메일이 안된다는거….(기존 메일 폴더 마이그레이션 하다 꼬인거 같은데, 어떻게 복구가 안되고 있다.)

홈씨어터 프로젝트

2007-06-22   //   alexken작성   //   인생  //  4 Comments

8월 이사를 간다.

이사갈 새집에 홈씨어터를 꾸미기위한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다.

큰 화면에 HD를 제대로 즐기며 박력있는 사운드를 저렴하게(??) 즐기는거 목표이다.

Display

큰 화면을 위해, 프로젝터, LCD, PDP가 물망에 떠오르지만, 그중 프로젝터를 선택했다.
32인치 소니 HD 브라운관 방식 TV가 있으니, 드라마 뉴스가 주된 지상파 HD컨텐츠는 주로 32인치 TV가 오히려 적합한 매체라 생각되며,
홈씨어터로는 주로 720P이상의 TS영화감상이 주가 될 것이므로, 사용하기는 까다로울지 모르나, 최상의 화질을 얻을수 있는 프로젝터가 내 용도에선 가장 적합했다.
올해부터는 1080P 프로젝터들도 300만원 안에 출시 되기 시작했지만, 현실적으로 제대로된 1080P 영상 소스가 드문관계로(무늬만 FullHD가 아닌) 100만원대 구매가능한 720P가 향후 몇 년간은 가격대 성능비 최고라 생각한다.
HC1100과 TW700사이에서의 고민은 그냥 TW700쪽으로 많이 기울었다.

6월29일 현재 아직 구매 하지 않은 대상이 프로젝터와 AV 리시버이다. HC1100과 TW700사이에 아직 해결되지 않은 고민을 방금 막 결정지었다. 결론은 TW700이다. 3LCD냐 DLP냐 색감이냐 깊은 블랙이냐 각각의 장단이 있기에 고민이었지만, 결론은 쉽게 내렸다. 집의 거실 크기가 문제다. 설계도상 3.3m 이므로, 100인치 투사하는데 TW700이 3.2m, HC1100이 3.7m를 요구하는데, TW 700을 써도 100인치 전체를 다 사용하는게 불가능 한 마당에 HC1100은 화면 크기에 대한 제약이 더 심하다는게 결론이다. 720p인 TW700으로 3년 쓰다가 1080p 로 업글할테니, 현재 나에겐 TW700이 최선의 선택이라는 생각이다.

TW 700 Review TW 700 danawa

aw15.jpg

결국 구매한 제품은 Sony의 VPL-AW15였다 최근에 막나온 뜨근뜨끈한 모델인데다가 LCD 패널 자체가 더 커서, 투사거리가 더 작다는게 선택의 이유였다. 100인치 투사거리가 TW700보다도 30Cm정도 더 작아서 이사갈 집의 3.3m 거리에서 가능한 100인치를 사용할수 있을거 같아서이다. AW 15 Review

Screen

프로젝터에 관심을 가지기 전에는 스크린에 중요성을 몰랐는데, 스크린 방식, 차이, 가격이 그렇게나 다양한지 최근에야 알았다.
스크린은 DNP사의 SuperNova 100인치 스크린을 최근에 구매했다.
밝은 실내에서도 쉽게 보기 위해 높은 게인의 스크린도 찾아보았지만, 그와 더불어 무너지는 색감을 고려한다면 홈씨어터 용은 아니라 생각되며, 게인은 2지만 광학 스크린 방식이 깊은 black level, 밝은 곳에서도 그럭저럭 보여서, 스크린에도 좀 투자를 하기로 했다.

참고로 100인치 스크린이 그렇게 큰지 몰랐다. 아파트 엘리베이터에는 안들어가며, 계단으로 옮겨도 커브를 틀 수가 없다. 각층마다 엘리베이터 문을 열고 닫아야만 했다. 지난 주말 12층까지 옮기느라 죽는 줄 알았다.

 

Speaker

그간 탄노이 스피커에 삘이 꽂혀서 탄노이만 바라보다가, 지난 주말에 정말 싸다는 싸이트에 이벤트로 나온 물건이 있어서, 덥석 물어다. 물건 몇 개 없다고 해서 조바심 내서 사 두었더니, 다 팔리자 마자 재고량 카운트가 더 올라갔다. 약간은 속은 듯한….
회사로 배송한 관계로, 현재는 실험실 구석 구석에 짱박아 두었다.

JBL, Klipch 와 같은 미국 브랜드보다는 유럽 브랜드가 왠지 더 음악적으로 깊이가 있을 것만 같은 막연한 생각에 대상밖이였지만, 저렴한 가격땜시 클립시로 선택했다. AV에서는 클립쉬가 알아주는 면도 없잖아 있고…

어차피 주된 목적이 HiFi가 아닌, AV이니 만큼 선택에 후회는 하지 않는다.
클립쉬를 선택한 또하나의 배경은 인테리어 측면에서 검정색 무광이란 점이다. 홍여사의 의견이다.

Safari for Windows

2007-06-12   //   alexken작성   //   기술  //  3 Comments

오늘 레오파드가 발표 되었나 보다.

새로 추가된 기능들 하나하나가 군더더기 없이 다 바랬었던… 기능들로 당장이라도 업그레이드 하고 싶은 정도였다.

근데 놀랍게도, Windows용 사파리가 비록 베타지만 발표된게 아닌가….

속도도 다른 브라우저에 비해 2배 빠르다는 그래프와 함께 “Browse like Wind”

당장 Windows PC에 설치후 기대되는 마음으로 바탕화면의 safari를 클릭했더니만…..

safari.png

아직까지 윈도우즈용 사파리를 구경하지 못했다.

WordPress 2.2로 업그레이드

2007-06-04   //   alexken작성   //   기술  //  1 Comment

wordpress 2.2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했다.

워드 프레스 업그레이드
1. wordpress 폴더 백업
2. 새 버전의 wordpress 폴더 업로드
3. wp-config.php 파일 편집
4. http://host/wordpress/upgrade.php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1. /wp-content/uploads/uploads 복사 해옴.

플러그인 복구
1. dBeautifier 때문에 download.php를 http://host/wordpress/ 에 위치 시켜야 함.

지금 내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플러그 인들은 대부분 그냥 동작.

페이지:«1...3334353637383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