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에 해당하는 글들

OpenSSL with SEED

2008-01-09   //   alexken작성   //   기술  //  No Comments

업무에 SEED가 적용된 OpenSSL이 필요해서 (TCommerce시험), 그동안 퍼키님이 만들어 주신 패치를 이용해서 너무나 감사히 잘 사용해 왔다.

하지만 특정버전에 의존관계가 생겨서 계속 openssl에 seed가 적용되길 늘 기다려 왔고, seed 가 들어갔다는 글도 예전 부터 보아 왔지만, 오늘 드디어 0.9.8g 버전을 깔아보니 드디어 들어간 걸 내눈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냥 make만 하면 안되고, 명시적으로 enable-seed라고 config 옵션에 넣어줘야 한다.

$./config enable-seed
$make
$sudo make install
$
$sudo mv /usr/bin/openssl /usr/bin/openssl.old
$sudo ln -s /usr/local/ssl/bin/openssl /usr/bin/openssl
$ openssl ciphers
DHE-RSA-AES256-SHA:DHE-DSS-AES256-SHA:AES256-SHA:EDH-RSA-DES-CBC3-SHA:
EDH-DSS-DES-CBC3-SHA:DES-CBC3-SHA:DES-CBC3-MD5:DHE-RSA-AES128-SHA:
DHE-DSS-AES128-SHA:AES128-SHA:DHE-RSA-SEED-SHA:DHE-DSS-SEED-SHA:SEED-SHA:
IDEA-CBC-SHA:IDEA-CBC-MD5:RC2-CBC-MD5:RC4-SHA:RC4-MD5:RC4-MD5:
EDH-RSA-DES-CBC-SHA:EDH-DSS-DES-CBC-SHA:DES-CBC-SHA:DES-CBC-MD5:
EXP-EDH-RSA-DES-CBC-SHA:EXP-EDH-DSS-DES-CBC-SHA:EXP-DES-CBC-SHA:
EXP-RC2-CBC-MD5:EXP-RC2-CBC-MD5:EXP-RC4-MD5:EXP-RC4-MD5

Cipher commands (see the "enc" command for more details) 
aes-128-cbc aes-128-ecb aes-192-cbc aes-192-ecb aes-256-cbc aes-256-ecb 
base64 bf bf-cbc bf-cfb bf-ecb bf-ofb cast cast-cbc cast5-cbc cast5-cfb 
cast5-ecb cast5-ofb des des-cbc des-cfb des-ecb des-ede des-ede-cbc 
des-ede-cfb des-ede-ofb des-ede3 des-ede3-cbc   des-ede3-cfb des-ede3-ofb 
des-ofb des3 desx idea idea-cbc idea-cfb idea-ecb idea-ofb rc2 rc2-40-cbc 
rc2-64-cbc rc2-cbc rc2-cfb rc2-ecb rc2-ofb rc4 rc4-40 
seed seed-cbc seed-cfb seed-ecb seed-ofb

iPod touch 프로그램 설치 공간 확보

2008-01-08   //   alexken작성   //   기술  //  3 Comments

iPod touch를 jail break하고 난후 BSDSubsystem 만 달랑 깔고, ssh 로 접속후 df 해보니 담과 같다.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disk0s1            307200    278396     25732  92% /
devfs                       15        15         0 100% /dev
/dev/disk0s2           7622368     28144   7594224   1% /private/var

즉 app + os 용으로 할당된 파티션은 벌써 92%나 차 있다. 그리고 perl등을 installer로 깔면 100% 설치가 안된다.

고로 해결책은

cd /
mv Applications /private/var
ln -s /private/var/Applications Applications

해줘야 touch 용 어플리케이션을 마음껏 사용할 수 있게 된다.

foo_1.png

여기(야옹이님)에서 좀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팁이 있다.

iPod touch 1.1.2 탈옥기

2008-01-08   //   alexken작성   //   기술, 인생  //  2 Comments
alexken의 새 장난감

지난 10월달 콜로라도 출장때 applestore에서 iPod touch를 샀다. iPhone과 touch 사이에서 1시간을 넘게 고민하다가, 카메라는 별 필요가 없고, 전화는 무용지물이고, bluetooth 때문에 10만원이란 거액과 저울질 하다가 bluetooth가 되어도 keyboard는 사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touch로 결정.

사자마다 1.1.1 jailbreak 해서 재밌게 잘 사용하다가, 어느날 우연히 iTune가 1.1.2로 업글 하겠냐는 메시지에 무심고 OK. 바로 밋밋한 오리지널 touch로 복귀후 한달 이상을 처박아 놓고 사용않다가, 최근에 다시 이것저것 설치후 휴대용 웹브라우저+장난감으로 사용중…

웹에 글들이 Windows기준이라, 다시 정리.

  1. iPod touch 종료

  2. 슬립+홈 버튼을 누른채 10초후 슬립버튼만 해제

  3. 복구 모드로 iTunes 실행

  4. option + 복원 클릭(Windows는 shift + 복원 클릭)

  5. ~/Libraries/iTunes/iPod Software Updates/에 백업되어 있는 1.1.1 이미지로 복원

  6. iPod에서 safari 실행후 http://jailbreakme.com에서 Installer 설치

  7. Installer 로 Tweaks(1.1.1)안에 있는 OktoPrep 설치

  8. iTunes에서 1.1.2로 업데이트 후 iTunes 종료

  9. 1.1.2용 jailbreak download 후 안에 있는 jailbreak.jar 더블클릭 (http://conceitedsoftware.com/iphone/site/112jb.html 에서 다운)

    jail2.png
  10. http://codedesign.tistory.com/16 에서 한글 입력기 설치 (두번의 재시동 꼭 지켜야 함 – 이거 땜에 복원만 두번함.)

  11. http://repo.us.to에서 iPhone 용 프로그램 설치

  12. Unix subsystem 설치

  13. iPod touch 프로그램 설치 공간 확보 에 있는 글대로 설치 공간 확보

  14. Perl설치

    • Installer 로 perl 설치 (PATH에 대제로 추가되지 않는거 같음.)
    • ssh 로 접속
    • vi /etc/profile 에서 PATH opt/iphone/bin 추가

[java] reflect on java

2007-11-13   //   alexken작성   //   기술  //  No Comments

회사서 Class를 조사할 일이 있는데 reflect를 까먹어서 한동안 googling 해서 다시 학습…

java.lang.String의 method를 출력하는 루틴의 골자만 요약하면….

import java.lang.reflect.*;

public class ClassExam{

    public void printClassInfo(String className){
        try{
            Class a = this.getClass().getClassLoader().loadClass(className);
            Method[] methods = a.getDeclaredMethods();
            for(int i=0; i<methods.length; i++){
                System.out.println(methods[i].toString());
            }       
        }catch(Exception e){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lassExam a = new ClassExam();
        a.printClassInfo("java.lang.String");
    }
}

MacOSX에서 한텀 사용하기

2007-09-12   //   alexken작성   //   기술  //  No Comments

예전에 사용하던 hanterm이 그리워 찾아보았다.

hanterm.png

문제는 폰트였다. 한텀엔 역시 카이스트-이야기체 여야만 한다. 근데, 나같은 컴맹이 X11의 font 쪽을 알리도 만무하고… 카이스트-이야기체를 구해서 X11의 폰트로 등록하고 한텀에서 띄우기까지 오늘 하루 처절했다.

암튼 bdf –> pcf로 변환해서 X11 폰트 디렉토리로 옮기고, fonts.dir을 업데이트 하고 X11 font cache를 rehash 해줘야 비로소 띄울 수 있었다.

http://alexken.homeip.net;/files/kaist-iyagi.tar.gz;kaist-iyagi.tar.gz 다운 받기;
1. Makefile을 연다
2. DESTDIR    = /usr/X11R6/lib/X11/fonts/misc 로 설정한다.
3. COMPRESS   = gzip
4. sudo make install 한다.
5. cd /usr/X11R6/lib/X11/fonts/misc
6. xset fp rehash
7. xlsfonts | grep iyagi 로 설치를 확인

대략 맞는지 가물 가물

VaioUX + MacOSX + Wiimocon = ???

2007-08-08   //   alexken작성   //   기술  //  No Comments

VaioUX + MacOSX + Wiimocon의 조합이야 말로 궁극의 조합이다.

다시 풀어서 MacOSX가 깔린 포터블한 미니 컴퓨터 게다가 Wiimocon으로 컨트롤… 이라

이걸로 키노트 한번 하면 정말 작살이겠다…

돈주고 산 Remote Buddy 란 프로그램이 정말 아깝지 않다. Wiimocon으로 컨트롤 하는것이 Apple Remocon보다 더 좋은 점은 적외선이 아니라 블루투스 이기 때문에 꼭 컴터를 향해서 조작할 필요가 없다.

Remote Buddy가 Wiimocon의 모션 센서 기능까지 구현한다거나, 마우스 포인팅까지 되게 한다면 이건 너무 바라는 걸까??

MacOSX on Vaio UX27LN

2007-07-19   //   alexken작성   //   기술  //  3 Comments

4.5’의 엄청난 휴대성에, Viata가 기본 탑재된 나쁘지 않은 성능의 피씨sony-vaio-ux.jpg UX 사용자로서, UMPC로 분류하면 좀 섭하다. 미니피씨라고 불러다오. 이전에 외국글에서 UX에 MacOSX를 설치했던글을 보았다. Vista가 다소 무거운거 같아 XP로 갈아타려던 차, 재미삼아 MacOSX를 깔면 어떤 용도의 물건이 될까 호기심에 설치해 보았다. 2~3일 써 볼 계획이었다. 내겐 첨으로 깔아본 해킨토시인 셈이다.

근데, 이거 물건이다. 2~3일 써보려다가, macbookpro를 재끼고, 주 개발 피씨로 자리 잡아 버렸다.(mbp는 leopard깔고서 이것저것 시험중…)

Apple에서 Newton이후 PDA 비스므리한 제품군을 작정하고 안만들고 있는데, 그에대한 개인적인 항거이다. macbookpro에 tablet기능이 없는 관계로 Ink란 놈을 몰랐는데, MacOS의 Ink, Vista의 날으는 입력기만큼이나 훌륭하다.(문제가 있다면 한글 필기 입력 안된다는거…푸헐)

Apple은 10인치 이하의 tablet 제품을 출시하라.

http://www.micropctalk.com/forums/showthread.php?t=2140

사전 준비

10.4.8 JaS AMD-Intel-SSE2-SSE3 이미지를 구한다.(어디서 구하는지는 난 모름.) BIOS에서 LCD Stretch를 켜준다.(1024*600 해상도 지원을 위해서 추가작업 하기 싫다면…)

인스톨

별 특별한 사항 없이 그냥 잘 인스톨 된다. 단 선택항목을 sev7en 처럼 선택해준다.

추가로 잡아 줄 드라이버

■비디오는 그냥 잡힌다. 1024*600 모드로

■블루투스도 아주 잘 잡힌다. 인스톨후 바로 마우스(애플 무선 마우스) 키보드(씽크아웃사이드) 등록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UBS2.0, Realtek Audio, Power Mgmt

VaioUX Drivers for MacOSX

드라이버 설치법은 전부 pkg를 설치하고, 재시작 버튼을 절대 누르지 말고, 첨부된 S&R Permissions tool로 권한복구후 재부팅해준다.

■유선 네트워크

sudo vi  /System/Library/Extensions/IONetworkingFamily.kext
/Contents/PlugIns/AppleYukon.kext/Contents/Info.plist

에서 IOPCIPrimaryMatch 항목을 다음과 같이 수정 11AB가 제조사ID(Sony) 4351이 제품ID(VaioUX)이다. 마찬가지로 권한복구후 재부팅

IOPCIPrimaryMatch
0x435111AB 

■무선 네트워크 정신건강상 사용할 생각을 접자.

현재 문제점

  • 잠자기 들어가면 깨어날 줄 모른다.(해킨토시는 원래 그렇다나???)
  • 에어포트 사용 불가(요거 좀 아쉽다.)
  • 스피커로 소리가 안나온다.(이어폰으로는 가능)
  • 터치패널도 자동인식되어 사용가능하지만, 얼라인이 불가능하다.
  • 지문인식, 전/후 카메라, 특수버튼 – 애시당초 잡을 생각도 안했다.

[레오파드] Leopard/Lion에서 한영전환을 Shift-Space로…

2007-07-12   //   alexken작성   //   기술  //  8 Comments

이전에 MacOSX에서 한영 전환을 shift+space로 변경하는 방법을 적은 글이 있는데, leopard에 적용해보니 적용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찾아보니, hotkey를 저장하는 plist가 ~/Library/Preferences/com.apple.universalaccess.plist 에서 ~/Library/Preferences/com.apple.symbolichotkeys.plist 로 바뀌었다.

shiftspace.png

변경해야할 값은 Root/AppleSymbolicHotkeys/60/value/parameters/2 의 값을 Number : 131072 로 바꿔주고, 재부팅 하면 한영전환이 Shift+Space로 바뀐다.

추가 2011.11.21 : leopard/ snow leopard/ lion 모두 잘 동작

plist 파일을 수정하려면 Property Editor가 필요하다.

Property List 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