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에 해당하는 글들
페이지:«1...3940414243444546»

뽐뿌 받는 천체 장비 목록들…

2006-07-12   //   alexken작성   //   천문  //  3 Comments

언젠가는(10년~20년) 구입하고 싶은 장비들 목록이다. 

  • Astro-Physics EQ1200GTOleftsidenocablefrontanglebi.jpg 천체사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언제가는 갖고 싶어하는 적도의 탑재중량이 무려 60Kg나 되서 뭘 올려야 할지 대책조차 서지 않는 적도의. Paramount ME가 더 좋다고들 하지만, 웬지 ME는 공장에서 사용되는 공작기계 같아서, 개인적으로는 늘씬하게 빠진 하얀색 EQ1200이 더 끌린다. 최근에 다시 대기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워낙 인기가 있는지라, 대기목록에 이름을 올리고, 수년 기달려야 물건을 살수 있는 권한이 생긴다.(세상에 이런장사가 어딨남??) http://www.astro-physics.com/products/mounts/1200gto/1200gto.htm

 

  • SBIG STL-11000STL.jpg 뽐뿌 목록 1순위 냉각 CCD 카메라. 지금 현재 가지고 있는 ST2000과 감도나 특성은 비슷하지만, 뭐니뭐니 해도 6배가 넘는 35mm 필름 Full size CCD면적이 간혹 사람의 염장을 지른다.(염장의 주범 남XX씨.) 요즘 내노라 하는 천체 사진가라면 누구나 사용하는 범 지구적 카메라 http://sbig.com/sbwhtmls/large_format_cameras.htm#Research

 

  • Astrodon  Tru-balance filterastrodon.jpg 만약 CCD를 바꾸게 되면 필터셋도 Astrodon의 Tru-balance 필터로 바꾸리라. 필터들을 여러회사의 제품을 섞어서 사용하다 보면, LRGB&Ha 별로 초점을 다 다시 잡아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아스트로돈 필터는 한번 잡은 초점으로 모든 필터에서 초점이 틀어지지 않게 설계 되었다. 그리고 또한가지 장점은 이미지 처리할때, RGB합성시에 RGB비율을 1.4:1:0.8 처럼 자신의 최적화된 비를 찾아야 하지만, 아스트로돈 필터는 그냥 믿고서 1:1:1로 하면 됨. http://www.astrodon.com/

 

  • Temperature Compensated Focuserfli.jpg 잘 찍은 천체 사진은 8할이 날씨이고, 1할이 광축, 가이드 정확성,… 등이고, 나머지 1할이 초점 아닐까 생각한다. 지금도 초점 조절용 마이크로 미터로 미세하게 FWHM수치 보면서 나름대로 초점을 잡고 있다고 하지만, 손으로 할때는 초기에 정성스레 잡은 초점으로 끝까지 가는 경우가 보통이다. 하룻 밤에도 온도가 수시로 바뀌기 때문에, 온도에 따라 경통이 수축하므로 초점이 계속 변한다고 한다. 제목처럼 온도 보정 포커서란 온도 센서가 붙어 있어, 현재 온도에 따른 최적화된 초점을 계속 잡아 주는 기능을 해준다. 그리고 향후 RO를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초점을 잡을려면 이런 Robotic Focuser가 필요하다. 최근 제품은 Rotator기능도 포함된게 있는거 같던데…. http://www.fli-cam.com/digital_focusers.htm

 

  • Boltwood Cloud Sensorcloud-275.jpg Maxim/DL로 유명한 cyanogen에서 내놓은 제품으로 구름 측정 센서이다. 원격 관측지의 하늘이 맑은지, 흐린지를 판단하게 해주는 장비. 러셀 크로만이 직접 만든 이 센서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시해주는 프로그램도 있다. http://www.rc-astro.com/resources/CloudSensorGraph/index.html 나름의 노하우로 얻어진 값인지, 사진을 찍을지 말지를 판단케 해주는 기준선도 표시되어 있다. http://cyanogen.com/products/cloud_main.htm

 

  • CCDWare CCD AutoPilot3 젠들러도 러셀크로만도… 사용한다는 프로그램. 사이트 첫 페이지에 있는 Flash movie를 보면 이게 뭐하는 건지, 어떤기능을 가지는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친절하게 나온다. 원격에 있는 망원경을 스케줄링된 촬영 목록 대로, 자동으로 찍어주는 프로그램… http://www.ccdware.com/products/ccdap3/

 

 

 

  • RO Sytemro.jpg RO 뽐뿌의 원조, 천문인 마을의 이건호씨 관측소…. 모뎀으로 시작하시더니, 드뎌 초고속 인터넷이 들어왔단다…. http://www.astrophoto.co.kr/ro.htm

 

  • 개인 천문대 byulmasil.jpg 최근 나다 회원이 되신 김삼진님의 별마실 천문대 우리나라에도 더 멋지게 생긴 3~4m 돔을 얹은 천문 팬션들이 속속들이 생기고 있다지만, 개인적으로 이정도 크기의 가족들끼리 주말에 야외 전원생활이 가능한 별장의 역할도 하면서, 개인 관측소로서도 역할을 하는 이정도 급의 개인 천문대를 가지는 것이 소망이다.

 

  • Dobdob.jpg 돕도 스타마스터니, 옵세션이니하는 쟁쟁한 메이커들이 있지만, 지금 내가 가지고 싶은 돕이 있다면, 최형주님이 만든 15인치 F4 돕소니언이다. F4여야 하는 이유는 다들 F4는 안시용으로 너무 빠르고 상도 안좋을꺼라 하지만 본인 키가 있기 때문에 4 넘어가면, 사다리도 추가 구매해야 한다. 사다리 없이 깨기발까지 동원해서 볼수 있는 가장 큰 망원경이 15인치 F4이기 때문이다. 워낙 귀찮은 걸 싫어하는 나로서, 장비를 펴고 접는거 조차도 스트레스인데, 최형주님 돕을 조립하는걸 옆에서 한번 지켜 본다면,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사용자 편리성을 고안한 흔적이 보인다. 특히 폴대 조립부분이 예술이다, 그냥 V자로 벌리고 [척]하고 장착후 놉버튼을 돌리면 끝. 어두운 밤에 폴대를 끼워 맞추고 렌치로 돌릴꺼 생각하면…. 자동화 좋아하는 나로서도, 돕에 만큼은 모터를 붙이고 싶은 생각이 없으며, 이건호님 처럼 디지털 엔코더는 붙여서, 현재 향하고 있는 DEC, RA 좌표 정도의 도움은 받고 싶다.

 

  • 방한 용품 별을 본다고 하면 다들 낭만적으로만 생각하는데,한번 별쟁이 쫓아서 가봐라?어디가 낭만적인가? 8할은 아마도 두번다시 따라가지 않을거라 생각된다. 물론 나야 좋아서 하는것이지만, 별을 보기 위해서는 추위와의 혹독한 싸움을 이겨내야한다. 옆에서 히말라야 등정하는데 같이 가지 않을꺼냐고 한다면, 난 단호히 거부하겠다. 고생이 눈앞에 선한데… 그렇다고 그런델 고생하러 왜 가냐고 만류하지는 않겠다. 산을 정복했을때 어떤 기분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내가 좋은 사진을 건졌을때랑 비슷한 느낌이겠지? 추위와 맞서 싸울 방한 용품들 문제는 발이다. 현재는 동대문에서 한 3만원짜리 짝퉁 어그부츠에 충전지로 동작하는 따따발이란걸 사용하는데 온도가 낮아서 충전지에 문제가 생기는지 별 재미 못받다.  발열 깔창 http://betanews.net/gonggu1/gonggu_w.html?mode=read&num=2169 퍼텍스 방한복으로는 국산으로는 DANA와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렌드로는 몽벨사께 있다.

Code Monkey

2006-07-06   //   alexken작성   //   인생, 하늘이  //  No Comments

codemonkey.jpgAlphageek님 페이지에서 Code Monkey라는 노래를 알게 되었다.

딱 보는 순간 나를 위한 노래가 아닌가 싶었다. 프로그래머라고 하기엔 터무니 없고, 간단한 코드라도 짤라치면 한편에 google을 띄워 놓고, 손가락은 Ctrl혹은 Cmd (맥일 경우) 키 위에 올라간다.

Ctrl(Cmd)+C 와 V의 연속이기 때문이다.

집에와서도 몇번 반복해서 들었는데, 한가지 잼있는 사실은 비트가 좀 있는 곡인데, 하늘이 한테는 이게 수면제 였다.

오르골이나, 동요는 울음을 멈추는데는 돔이 되는데, 재우지는 못했다.

아주 유익한 곡이다.

더 보기 >>

현재 한반도 구름 사진 2

2006-07-03   //   alexken작성   //   기술, 천문  //  1 Comment

예전에 만들었던 한반도 구름사진 페이지  https://hanury.net/wp/astro/claud/ 가 호스팅 시작후에 서버 설정에 의해 안돌아 가고 말았다.

호스팅을 맏긴 cafe24에서 php 5를 지원 안해서

•php4에서 stream_get_contents()가 지원이 안되고, •sensitive URL Open을 막아서 인데, 어쩔수 없이

$fp = fopen($url, 'r'); 
$str = stream_get_contents($fp); 

위에 2줄로 끝나던 코드를 my_stream_get_contents란 함수를 추가해주고(php4에서 없으므로) fopen만으로 열던 것을 socket을 이용해서 열도록 수정해야만 했다…

function my_stream_get_contents($fp){
    $buf = ""; 
    while(!feof($fp)){ 
        $buf .= fread($fp,1024*8); 
    } 
    return($buf); 
} 
$fp = fsockopen($host, 80, $errno, $errstr, 12); 
fputs($fp,"GET $url HTTP/1.0\r\n"); 
fputs($fp,"Host: $host\r\n"); 
fputs($fp,"Referer: http://$host\r\n"); 
fputs($fp,"User-Agent:Mozilla/4.0(compatible;MSIE6.0;Windows NT5.1)\r\n\r\n"); 
$str = my_stream_get_contents($fp); 

아! 점점 코드 지저분해 진다.

Hanury.NET Widget

2006-06-30   //   alexken작성   //   기술, 하늘이  //  No Comments

디카 리뷰 사이트로 유명한 dpReview의 RSS Viewer 위젯을 손봐서, Hanury.NET 전용 위젯을 만들었다.

주의: 매킨토시 대시보드 전용이므로, 다른 오에스 사람은 받아가지 마세요!!!

근데 내 블로그를 맥으로 접속해서 다운로드 받은 사람이 과연 몇명이나 될까???

참고로 앞면은 RSS를 짧은 텍스트로 보여주고, 뒷면은 카테고리를 선택해, 글을 필터링해서 볼수 있다.

Host 이전 완료.

2006-06-29   //   alexken작성   //   기술  //  1 Comment

1달에 몇천원씩 해서 그냥 집에 컴터를 쓰고 있었는데, 요즘은 1달에 250원짜리가 있는게 아닌가?

기존에 집에 컴터로 hosting 하다가 왠지 전기세가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번 참에 hosting 업체에 맞기었다. 네임서버 변경으로 전세계 네임서버 동기화 까지 1일동안 페이지가 뜨다 말다하고, 한글도 엉망이었다.

250원짜리 쓸려다가 좀더 큰맘 먹고 cafe24란 호스팅 업체에 [64bit UTF-8 광절약형]이란 상품으로 무려 배가 비싼 월 500짜리 호스팅 업체에 맞기었다.(첨엔 설치비 5000원이 있음) 

속도도 불만없고, 트래픽이야 개인 홈페이지에 뭐 사람이 얼마나 찾으랴? 용량이 좀 적은데, 앞으로 사진은 Flicker 이용해야 겠다. 맥이라면 Flicker 위젯이 있어 드래그 한방으로 업로드 되니까..

문제는 db 업로드 땜에 하루 동안 한글이 죄다 깨지고 말았다.

mysqldump -u user -p dbname --default-character-set=latin1 > backup.sql

mysql 기본언어설정이 latin1이여서, 위 옵션을 안주면, 백업 파일은 utf8으로 생성하는데, 이미 깨져버린다. 이것도 모르고 깨진 파일을 온갖 en/decoding 하면서 고생했다.

또 다른 문제가 호스팅 업체의 php버전이 낮아 DomDocument를 지원하지 않는것이다. 그래서 astro 페이지의 apod 와 messier 페이지가 안뜨고, url을 파일로 open하는게 서버 셋팅에 막혀 있어서 기상청 구름 사진 가져오는 것도 막혀 버리고 말았다.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하늘이 태어난지 몇일 째인지 표시

2006-06-26   //   alexken작성   //   기술, 하늘이  //  1 Comment
header.png

그림과 같이 하늘이가 태어난 지 몇일 지났는지 블로그 헤더에 붙였다.

echo(time()-date("U",mktime(date("H"),date("i"),date("s"),2,21,2006)))/60/60/24+1;

다소 지저분해 보이긴 하지만, 헤더에 그냥 붙일꺼라서… 끝에 +1 한 이유는 우리나라에서는 태어난날을 1일로 친다고해서, +1일 해줌.

하늘이 이빨 나다.

2006-06-26   //   alexken작성   //   하늘이  //  No Comments

요즘 들어 혀로 입맛을 다시는 듯이 보였는데, 이빨이 나기 시작해서 가려워서 그랬나 보다. 6월26일 첨으로 확인.

이 사진을 찍기 위해 결국은 애 울리고야 말았다.

페이지:«1...3940414243444546»